본문 바로가기

경제 용어

(2)
파레토의 법칙 뜻, 파레토의 법칙에 대해서 알아보자. 안녕하세요? 오늘은 '파레토의 법칙'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파레토의 법칙(Law of Pareto)이란 상위 20%가 전체 결과의 80%를 가져오는 현상을 말합니다! 100명의 집단이 활동을 해서 내놓는 결과물이 있다면, 그 결과물의 80%는 상위 20명이 내놓고, 나머지 20%를 하위80%가 내놓는다는 법칙인데요. 이해를 돕기 위해 파레토의 법칙에 대한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. 책 판매점 매출액의 80%는 책을 많이 읽는 상위 20%로부터 나온다. 백화점 명품 매출액의 80%는 명품을 좋아하는 상위20%로부터 나온다. 이해가 쉽게 되셨나요? 다음에는 역 파레토의 법칙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
리디노미네이션 뜻, 화폐개혁에 대해 알아보자. 안녕하세요~ B급 경제학입니다. 요즘 화폐개혁 관련 뉴스가 간혹~ 보이시죠? 평소에 못보다가 뉴스에서 가끔 보신 기억이 있다면 그건 경제에 관련되어 일하고있는 사람들에겐 정말 자주 보이고있다는 소리랍니다! 그럼 그 뉴스에서 리디노미네이션이라는 용어를 쓰는것도 많이 보셨을텐데요 대체 이게 뭐길래! 뉴스를 볼때 가독성을 떨어뜨리는지 한번 파헤쳐봅시다 리디노미네이션이란 화폐의 단위를 변경하는 것 입니다. 10원짜리가 1원이되고 100원짜리가 10원이되면 그게 바로 리디노미네이션입니다. 쉽죠? 그럼 왜 리디노미네이션이 일어날까요? 리디노미네이션을 하는 대표적 이유는 '불편해서' 입니다. 대표적으로 짐바브웨 달러가 있겠는데요, 짐바브웨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1000억달러로 달걀 3개도 구매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..